top of page
[성명] 유진그룹 로비를 위한 억대 연봉 정치권 인사까지 YTN에 알박기하려 하는가?
유진그룹이 새 방송법을 부정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한 데 이어 이번에는 정치권 인사를 YTN 고위 간부로 영입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YTN 이사회 의결로 조직을 개편해 혁신성장지원실을 신설하고, 오재록 전 경기도 중앙협력본부장을 영입해 실장에 앉히기로 한 것이다. 오재록 씨는 참여정부 행정관 출신으로 카지노 기업인 파라다이스 상무로 일하기도 했다. 굳이 따진다면 이광재 전 의원 라인으로 분류된다는 게 정치권의 전언이다. 회사는 중장기 비전 수립과 ESG 경영 및 대외정책 협력 등을 위해 조직을 신설했고, 직무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고려할 때 일반 공채 방식으로는 적격자 확보가 어렵다고 판단해 외부 기관의 인재 추천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YTN 구성원 누구도 이해못할 설명인 동시에 아무도 속지 않을 거짓말이다. 중장기 비전이나 ESG 따위는 갖다붙인 명분일 뿐이고, 결국은 대외정책 협력이라는 이름으로 유진그룹을 위한 대관 업무나 정치권 로비를 담당할 것으
YTN지부
11월 12일2분 분량
2025년 10월 공정방송위원회 정기회의 결과(추석 특집 『당신의 제보』 불방·자사 관련 보도 및 보도 배제 원칙에 관한 건)
YTN 노사 공정방송위원회는 2025년 11월 5일 정기회의를 열고 다음 안건을 논의했습니다. <안건 1. 추석 특집 『당신의 제보』 불방의 건> 보도제작국 제작3부가 추석 연휴 특집으로 기획·제작한 3부작 다큐멘터리 『당신의 제보』가 방송을 나흘 앞두고 보도본부장의 지시로 불방된 사안과 관련해, 노측은 해당 다큐멘터리는 지난 5월 YTN 개국 30주년 특집 방송분에 대한 호평을 근거로 3부작으로 확대 제작해 당초 추석 연휴 편성이 잡혀 있었다며, 계획대로 제작을 마치고 임원 시사까지 진행한 상황에서 보도본부장이 2부까지만 시사한 뒤 방송 취소 결정을 내리고 11월 5일 현재까지 편성 계획을 잡지 않은 경위를 설명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공정방송을 위한 YTN 노사협약>에 근거해 공방위 소집 단계에서 보도본부장 출석과 직접 소명을 요구했으나 보도본부장이 불참한 만큼 사전 전달된 의견 이외의 추가 진술은 포기한 것으로 간주하겠다고 전제했
YTN지부
11월 7일5분 분량
2025년 8월 공정방송위원회 정기회의 결과(피의자 이동 중계 관련 취재 지시의 건)
YTN 노사 공정방송위원회는 2025년 8월 28일 정기회의를 열고 다음 안건을 논의했습니다. <안건. 피의자 이동 중계 관련 취재 지시의 건> 2025년 8월 18일, 특검 2차 소환조사에 응하기 위해 서울남부구치소에서 서울 광화문 특검 사무실로 이동하는 김건희 씨 동선을 중계하는 과정에서 현장 취재진에게 사실상 교통법규와 취재윤리 위반을 요구하는 무리한 취재 지시가 이루어진 데 대해, 노측은 현장 기자가 교통법규 위반 소지를 적시 보고하고 취재 중단 의견을 냈음에도 ‘벌금 등은 회사가 책임질 테니 계속 따라붙으라’는 지시가 전달됐다며, 그 결과 YTN 취재진이 버스전용차로를 위반해 버스정류장에 11차례 진입하고 신호를 위반하거나 차선을 급변경하는 등 위법하고 위험한 취재를 하는 장면이 고스란히 방송됐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측은 김건희 씨 첫 소환 당시 동선을 따라붙지 않아 실시간 시청률 경쟁에서 뒤졌다고 판단하고 2차 소환 때는 동
YTN지부
11월 7일2분 분량
2025년 7월 공정방송위원회 정기회의 결과(김백 사장의 보도 지시에 관한 건)
YTN 노사 공정방송위원회는 2025년 7월 29일 정기회의를 열고 다음 안건을 논의했습니다. <안건. 김백 사장의 보도 지시에 관한 건> 2025년 2월 1일, 김백 사장의 직접 지시로 기독교 극우 성향 단체 세이브코리아의 윤석열 당시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가 기사화되어 다섯 차례 방송된 사안과 관련해, 노측은 공방위 소집과 심의대상자 출석 요구에도 불구하고, 김백 사장이 YTN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설명도 없이 사퇴한 데 대해 유감을 표했습니다. 해당 단체 집회에 대해서는 당초 보도 계획이 없었으나, 사장이 지역취재본부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보도 누락 경위를 묻고 보도를 지시한 데 대해서는 관련자 이견이 없다며 명백한 보도 개입이라고 규정했습니다. 전화를 받은 지역취재본부장 역시 문제 소지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고, 기사를 작성한 기자와 데스크 역시 보도 가치에 공감하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측은 김백 사장이 사의를 밝힌
YTN지부
11월 7일6분 분량
bottom of page
.jpg)